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 식중독 위험도 함께 증가합니다.

    기온이 3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각종 세균이 활발하게 증식하며,

    특히 7~8월은 식중독 발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입니다.

    이 시기엔 반드시 음식 관리와 위생에 신경 써야 합니다.

    오늘은 식중독의 주요 원인부터 증상, 치료, 예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.

     

    식중독

    식중독의 원인

   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은 세균에게 최적의 조건입니다.

    주요 원인균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- 살모넬라균
    - 황색포도상구균
    - 장염비브리오균

    이들 균에 오염된 음식을 먹게 되면 식중독 증상이 빠르게 나타납니다.

    대표적인 식중독 증상

    식중독의 잠복기는 짧고, 빠르게 증상이 나타나는 게 특징입니다.

    다음과 같은 증상이 대표적입니다:

    - 복통, 구토, 설사
    - 탈수, 무기력감, 근육통
    - 오한, 발열, 두통

    여름 감기와 헷갈릴 수 있으므로 증상 발생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    식중독 시 주의사항

    식중독에 걸렸다고 해서 지사제나 구토 억제제를 함부로 복용하면 안 됩니다.

    특히 소아의 경우는 절대 금물입니다.

    - 지사제는 장 운동을 멈추게 하여 병원균을 장에 머무르게 해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
    - 대부분의 경우 충분한 수분 보충과 휴식으로 자연 회복됩니다.

    - 하지만 노약자, 어린이, 면역력 저하자는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
    식중독 예방법

    1. 철저한 음식 위생 관리

    - 덜 익힌 고기(특히 닭고기, 돼지고기, 쇠고기) 주의
    - 반숙 계란, 날달걀 조심
    - 조리한 음식은 가급적 빨리 섭취

    2. 손 씻기 생활화

    - 외출 후, 조리 전, 식사 전에는 30초 이상 손 씻기
    - 식중독의 70% 이상 예방 효과

    3. 주방 위생 철저히

    - 조리기구, 도마, 칼은 세척 및 열탕 소독
    - 채소류, 해산물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 후 익혀 먹기
    - 물도 반드시 끓여 마시기
    (계곡물, 샘물 등은 절대 음용 금지)

    식중독 치료,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

    가벼운 식중독은 대부분 자연 치유됩니다.

    하지만 아래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 치료가 필요합니다:

    - 고열과 극심한 탈수
    - 구토와 설사가 2일 이상 지속
    - 혈변 또는 의식 저하
    - 노약자, 유아, 임산부 등의 고위험군

    마무리하며

    식중독은 여름철 자주 발생하지만 방심해서는 안 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.

    가벼운 경우는 자연 회복되기도 하지만, 방치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
    올여름,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선 위생적인 식습관과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.

    반응형